이빨 에나멜 단백질을 통해 인류 건강을 알아보다
여러분, 장구한 인류의 역사를 단 한 번의 이빨 검사로 되짚을 수 있다면? 오늘은 최근에 발표된 세계적인 연구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바로 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에서 진행된, 인간 치아 에나멜 내 단백질을 통한 새로운 건강 연구입니다.
이번 연구는 고고학적 과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발표되었으며, Tammy Buonasera 교수님이 주도했습니다. 이들의 방법은 두 가지 면역 단백질, 즉 감염과 싸우는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G(Immunoglobulin G)와 몸에 염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 단백질들은 치아 에나멜에 박혀 있어, 과거와 현재의 인간 집단 건강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연구의 배경과 방법
Buonasera 교수님의 연구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에서 연구를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녀와 협력자, 그리고 지역 원주민 부족의 대표들은 세 가지 다른 인구 집단의 이빨 에나멜에서 단백질을 테스트했습니다:
- 18~19세기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의 미션 전초기지에서 발굴된 조상인 오로니(Ohlone) 사람들: 이들은 2016년 건설 프로젝트 중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 19세기 후반 샌프란시스코 시립 묘지에 묻힌 유럽 정착민들.
- 현대 군사 생도들이 기증한 사랑니.
연구팀은 각 인구 집단의 알려진 역사와 경험을 바탕으로 두 단백질의 수준을 비교했습니다. 캘리포니아 미션 시스템에 속한 원주민들은 높은 사망률과 스트레스, 감염병에 시달렸으며, 유럽 정착민들은 현대 인구보다 짧은 수명을 가졌지만 원주민보다는 스트레스와 질병이 적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반면 현대 군사 생도들은 더 좋은 건강과 영양 상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연구 결과, 원주민 집단에서 스트레스와 질병의 높은 증거와 매우 높은 수준의 두 단백질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어린이들에게서 면역글로불린과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매우 높았습니다. 이는 이들이 질병과 싸우며 스트레스를 겪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실제 사례
Buonasera 교수님은 이렇게 말합니다:
"이 단백질들은 치아 에나멜에 박혀 있어, 과거 인간 집단의 생물학적 및 감정적 건강을 연구할 수 있는 수단이 됩니다."
또한,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의 인류학 교수인 Jelmer Eerkens는 연구에 대해 이렇게 언급했습니다:
"특히 어린이들 중 일부는 면역글로불린과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이들이 감염과 싸우고 스트레스를 받았음을 나타냅니다. 부모와 가족을 잃고 새로운 문화 환경에 적응하려던 아이들이 이 과정을 어떻게 겪었을지 생각하면 마음이 아픕니다."
미래의 가능성
이번 연구는 여러 가지 면에서 유망합니다. 첫째, 치아는 태아 시기부터 청소년기 또는 젊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다른 시간적 창문에 형성되므로, 이는 출생부터 성인 초기까지 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둘째, 구조적 변화가 뼈나 치아에 남지 않는 많은 질병들에 비해, 면역 단백질은 병이나 염증에 대한 반응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 인류의 생리적 및 감정적 건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치아 에나멜은 다른 조직보다 훨씬 천천히 분해되기 때문에 고대 인간의 치아 단백질을 통해 수천 년 전의 인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과거 인류의 건강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며,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비교할 중요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페어뱅크스 대학의 Tammy Buonasera 교수님과 그녀의 팀이 연구한 이 기술은 앞으로 생물인류학 분야에서 더욱 빛을 발할 것입니다. 특히, 이 방법이 얼마나 정확하고 혁신적인지에 대해 언급한 UC 데이비스의 Glendon Parker 교수님의 말로 이번 포스트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이 새로운 도구들은 우리의 과거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생물인류학의 미래는 정말 흥미롭습니다."
여러분, 궁금하시죠? 이 놀라운 연구 결과가 여러분의 이빨을 다시 보게 만들지 않나요? 댓글로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